심리상담 꿈과쉼 우울증연구소

2024/11 13

심리학이야기/조기 교육 적기 교육...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심리학이야기조기  교육 적기  교육천근아 소아정신과 의사 뇌 휴식 시간뇌 공부한 것 정리, 휴식 시간과 수면, 특히 친밀한 정서적 교류 가장 중요, 그럴 시간 공부만 시키면, 뇌 과부하, 학습 결과물 좋지 않음, 정리하고 자기 것 만드는 시간 필요. 조기 교육 문제점뇌 가소성 원리, 경험 기대형 뇌가소성, 경험 의존형 뇌가소성, 경험 기대형은, 아이가 그 연령대 자극받으면, 예정된 뇌 회로 생성, 받아야 할 자극 안 들어오거나, 다른 자극, 경험 기대형 뇌가소성 망가짐. 어린 나이 중요한 뇌 회로, 정서적 회로, 정서적 안정감 관장, 조기 교육하면, 이 부분 부실해짐, 인지발달 할 때 아닌데, 조기 교육, 당장 필요하지 않은 인지자극, 정서적 뇌 가소성 이루어지지 않음, 정서 취약해짐.  적기 교육 장점..

심리학 이야기 2024.11.29

마음사랑/존재감에 관한 생각...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존재감에 관한 생각 티비나 언론 등에서 심리전문가들이 종종 존재감에 대해 말한다. 누군가를 관찰하고 “이 사람은 존재감이 없는 것 같다”고 한다. 그런데 그들이 말하는 ‘존재감이 없다’라는 말은, 그 대상이 속한 사회에서 별 영향력 없이 조용히 혼자 살고 행동한다는 의미가 진하다.  하지만 ‘존재감’이라는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이런 뜻이 아니다. 존재감은 ‘사람이나 사물이 실제로 살아있다는 느낌’이다. 전문가란 사람들이 ‘이 사람은 존재감이 없다, 당신은 존재감 없다’ 말하는 그런 의미가 아니다.  존재감은 전문가 등의 타인이 누군가를 평가해서 드러나는 게 아니다. 스스로 살아있다 느끼는 것이다. 다르게 생각해 보면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1등이 아니고 인싸가 아니어도, 스스로 괜..

마음 사랑 2024.11.27

우울증심리상담/우울증에 대한 오해...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우울증심리상담우울증에 대한 오해 우울증은 이제는 많은 이들이 듣고 안다. 인터넷에서 자주 검색되는 단어이기도 하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우울증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울증은 몸에 생기는 병처럼 그런 병이 아니고 증상이기에 생각보다 알아내는 게 어렵다.  더욱이 우울증을 스스로 많이 안다고 생각하기에 우울증에 대한 오해는 여전히 있다. 그 오해들을 살펴보면 이렇다.  첫 번째, 우울증은 항상 우울하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우울증은 우울함 만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니다. 어떤 이는, 우울하지 않고 무기력하다. 또 어떤 사람들은 우울을 잘 못 느끼고 짜증이나 분노의 감정을 자주 드러낸다. 감정이 전혀 없어 보이기도 하다. 이 모든 게 우울증이다.  두 번째, 우울증은 마음이 약해서 걸린다는 ..

우울증 2024.11.25

마음시/나는 걷는다...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시나는 걷는다힐렐 나는 걷는다 나는 넘어진다 나는 일어난다 그러는 동안 나는 계속 춤춘다 https://dreamrest.tistory.com/88 소장님 소개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됨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 요삼 2 김광태소장약력/ 심리상담전문가 웨스트민스터대학원,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서울) 우리나라 최고dreamrest.tistory.com  #마음시 #나는 걷는다 #심리상담 #영등포심리상담 #나 #걷기 #넘어지기 #일어나기 #춤추기 #심리상담전문가 #김광태심리상담전문가  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

마음 시 2024.11.22

심리학이야기/청소년 스트레스...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심리학이야기청소년 스트레스김붕년 서울대 의대교수 청소년 주관적 문제 인식코로나 이후, 온라인 수업, 집중 못함, 스스로 부정 해석, ADHD 검색 비율 높아짐, 검색량 세배 이상, 아이들 주관적 고통 늘어남. 극심한 스트레스 부모와 소통 줄어듦, 온라인 소통 늘어남, 부모가 아이 스트레스 느끼지 못함, 행동만 가지고 조언, 아이 생활 루틴 무너짐, 학업/자존감/또래 관계/건강상태 나빠짐, 부모 아이 온라인 활동에 관심가져야, 아이 와 소통 노력 필요.  SNS 금지?어떻게 쓰느냐 중요, 너무 몰입 안 하면 상관없음, 이 시기 전두엽, 조절기능 미숙, 실험정신 강함, 부모 함께 도움 필요, 아이와 함께 배우는 마음, 온라인으로 자녀와 좋은 관계 가짐. 즐거움이 스트레스로 쇼츠/좋아요 받는 것, 타인과 비교..

심리학 이야기 2024.11.20

마음사랑/민감성의 양면...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민감성의 양면 민감한 사람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의 오감이 다른 이들보다 발달했다. 그래서 남들이 보지 못하는 부분도 본다. 또 타인이 듣지 못하는 아주 작은 소리도 듣는다. 어떤 이들은 대단한 후각을 가져서 음식 등의 냄새를 매우 잘 맡는다. 그리고 또 다른 이들은 놀라운 촉각으로 남이 감지하지 못한 냄새도 맡는 굉장한 능력을 가지기도 한다.  이런 민감한 능력을 지닌 이들은 소설가, 웹툰 작가, 화가, 음악가 등의 예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감정의 변화와 표정과 태도의 미세한 변화를 잘 찾는 수사관도 된다. 추리소설 셜록 홈즈의 주인공 홈즈도 이런 민감한 능력의 소유자다. 대 도둑과 살인 등의 범죄의 증거를 찾아내고 범인을 잡는데 놀라운 재능을 발휘한다. 의뢰자가 어떤 옷을 입었..

마음 사랑 2024.11.18

우울증심리상담/첫째와 외동 우울증 위험성...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우울증심리상담첫째와 외동 우울증 위험성 어릴 때 각 집에는 자녀가 보통 6~8명이었다. 어떤 집은 10명이 넘었다. 그래서 부모가 없어도 서로 서로가 돌봐주고 부모 노릇을 했다. 그러나 요즘은 자녀가 한두 명이다. 많아야 세 명정도다. 그래서 보통은 첫째와 둘째만 있거나 외동만이 한 가정의 자녀로 있다.  그런데 이런 형제 관계와 밀접한 아동기 정신 건강 연구가 미국에서 있었다. 미국인들의 전자 건강 기록을 관리하는 회사인 에픽의 연구원들은 8세에 정기 검진을 받은 미국 어린이들을 분석했다. 이 어린이들은 2009년과 2016년 사이에 태어난 18만2477명이었다. 이 연구는 첫째와 외동의 형제 순위가 아동기 정신 건강과 성인기 심리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의 나이, 성별,..

우울증 2024.11.15

마음시/따로 국밥...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시따로국밥나태주 따로국밥은 서민적인 음식뚝배기 하나에 국물을 넣고 밥을 말아주던시장 국밥에서 조금씩 여유를 부린 음식밥 한 그릇 따로 국 한 그릇 따로여서 따로국밥  그렇지만 나에게는 서러운 음식신혼 시절 외지에 나가 선생 할 때 따로국밥 두 그릇 값이 없어국밥 냄새를 피하여 저녁 산책길멀리멀리 국밥집을 피해서 걷던 발길 젊은 아내와 젊은 나의 비척이던 발길이 들어 있는 음식밥집 멀리 돌아서 가던서러운 저녁 그림자가 어른거리는 음식 오늘도 나는 그리운 마음으로해거름 녘 어슬어슬 그림자 앞세워따로국밥 한 그릇 혼자서 청해 먹고집으로 돌아가는 길이다. https://dreamrest.tistory.com/88 소장님 소개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됨같이 네가 범사에 잘되고 강건하기를 내가 간구하노라. 요..

마음 시 2024.11.13

심리학이야기/부모 자녀 적절한 거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심리학이야기부모 자녀 적절한 거리이현주교수 최명기원장 한 사례, 40살 된 아들에게 용돈 주는 엄마, 언제나 부모 자녀 관계는, 세상의 능력주의 합리성 벗어남, 즐겁진 않아도, 자식이라 지원해줌, 노후 자금에서 자식에게 줌, 엄마도 고혈압 진단, 위기 상태임. 독립 못 한 자녀독립하고 싶어도, 사정이 있어서 그럴 수 있음, 학창시절 등에서, 자신일 해본 적 없음, 성인 되어 일못함, 특별한 요구 하지 않고, 부모와 함께 삶., 부모에게 돈 뜯어 가는 이들도 있음, 또 처음엔 자신 일 하다가, 사업 실패/이혼 등으로, 부모의 도움 받고 사는 삶을 사는 이들도 있음.  심각한 의존 상태, 부모 암/사고, 부모 자신 죽음에 대한 공포, 남겨질 자녀에 대한 슬픔, 이 점 때문에 심각한 의존 상태, 자식 자신이 ..

심리학 이야기 2024.11.11

마음사랑/타고난 성격 바꿀 수 있는 성격...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타고난 성격 바꿀 수 있는 성격 사람들이 잘하는 말이 있다. ‘저 사람 성격이 왜 저, 모양이야’. 이때 성격은 바꿀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사람이 저런 성격으로 살고 있어 노력 좀 하지?’ 이런 뜻이 아닐까? ‘다른 사람을 생각해서라도 저런 성격은 고쳐야 한다.’ 가 강하게 드러나는 말이다.  그런데 상담에 오는 이들이나 많은 사람이 성격은 바꿀 수 있는 게 아니라 말한다. 심하게 말하는 이들은 ‘이렇게 살다가 죽을 것이라’ 한다. 이런 말을 들으면 어떤가? 답답한 마음이 올라오지 않는가? 과연 성격은 바꿀 수 없는 것일까? 아니면 바꿀 수 있는 것일까? 심리상담에서 가장 어려운 상담이 성격장애 상담이다. 연극성, 자기애성, 편집성, 회피성 성격 등이 그것이다. 이런 성격은 어릴 때 나타나..

마음 사랑 2024.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