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상담 꿈과쉼 우울증연구소

마음 사랑 141

마음사랑/거부감 주는 사람...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거부감 주는 사람 사람들 중에 다가가면 도망가고 물러나면 다가오는 사람이 있다. 이들은 상담에서도 힘든 케이스에 해당된다. 상담 선생님은 이런 이들을 만나면 기본적으로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이들은 다른 인간관계에서도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준다. 자신들도 거부감을 느끼고 타인에게도 거부감을 주는 것이다. 이들은 왜 이런 심리를 가지게 되었을까? 과거에 거절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주 양육자로 대표되는 부모에게 거부당한 상처는 이들의 평생을 좌우한다. 이 거부는 실제 거부일수도 마음 속으로 거부당했다고 느꼈을 수도 있다. 실제든 아니든 내가 부모에게 거부당했다는 상처는 인간관계에 대한 불신으로 다가온다. 마음속 깊은 곳엔 사람들은 언제나 나를 거부하고 무시하고 실망시킨다는 생각이 있다. 그..

마음 사랑 2025.04.21

마음사랑/남을 위해 사는 사람...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남을 위해 사는 사람 어떤 사람은 참 착해 보인다. 그런데 만나보면 매력이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들은 자신은 생각하지 않고 남만 생각하는 게 특징이다. 그래서 주변 사람은 그 사람으로 인해 편하다. 언제든지 부탁해도 잘 들어주고 잘 도와주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 사람과 함께 하고 싶은 멋은 잘 보이지 않는다. 자신의 욕구나 자기 생각이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무엇을 말해도 “네가 하자는 대로 할게”라고 한다. 혹은 “나는 아무렇지 않아”, “이것도 괜찮고 저것도 괜찮아!”라고 한다. 이 사람과 함께 하면 지루하고 재미가 없다. 어떤 특징이 없는 존재와 같기 때문이다.  왜 그들은 그런 말과 행동을 하는 걸까? 그들은 남에게 잘 보여야만 사랑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사람의 ..

마음 사랑 2025.04.11

마음사랑/지저분함과 공격성...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지저분함과 공격성 한 사람이 있다. 그는 물건을 정리하는 걸 잘 하지 않는다. 물품 정리를 싫어하기보다는 그냥 그런 것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다른 이들은 왜 그런 상태로 방이나 자신이 사는 환경을 어지럽히고 치우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어 한다. 왜 그럴까? 보통 정리나 청소를 잘하지 않는 사람은 미루거나 귀찮아서 그런 경우가 있다. 하지만 마음의 불안과 분노가 있는 경우도 자신의 주변을 돌아보지 않는다. 정리되지 않는 환경은 내면의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감정적으로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를 해결하는 대신 주변을 방치한다.  쉽게 화를 내거나 공격적 반응을 보이는 사람은 내면에 억눌린 좌절감이나 불안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심리적 불안은 때론 주변 환경을 돌보지 ..

마음 사랑 2025.04.02

마음사랑/나만 억울하다는 심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나만 억울하다는 심리 매사에 불평과 불만 분노를 터뜨리는 이들을 가끔 만난다. 이야기를 듣다 보면 세상이 불공정하고 불행한 일, 뿐이다. 항상 억울한 심정으로 산다. 실제 그런 일들이 많은 게 우리가 사는 세상이다. 하지만 꼭 불평할 일만 있거나 불만을 터뜨리는 일이 늘 발생하는 건 아니다. 좋은 일, 감사한 일, 희망적인 일도 있다. 그렇지만 불평할 것, 불만을 터뜨릴 일만 보고 산다.  잘되거나 좋은 일이 생기면 그냥 운이라 생각한다. ‘그런 일에 왜 감사하고 고마워하냐?’ 말한다. 그러면서 곧 불평할 일을 찾아내고 불만을, 가지고 분노한다.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면, 불공정한 대우를 자주 많이 경험했다. 그들은 자신의 노력이나 기여에, 비해 매우 부당한 평가를 받았다고 느낀다. 이렇게 느끼면 ..

마음 사랑 2025.03.17

마음사랑/큰일, 큰것만 해야 한다는 사람...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큰일, 큰 것만 해야 한다는 사람 큰일만, 큰 것만 해야 한다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작은 성취나 어떤 것을 이루는 과정은 중요시하지 않는다. 그들에겐 이런 하찮은 작은 건 소용이 없다. 오직 반드시 크고 대단한 것을 이루어야 하고 그런 큰 결과를 내야만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이들은 상담에서 보면 거의, 대부분 실패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작은 실수도 용납하지 않으려 한다. 그런 까닭에 어떤 일을 시작하는 것을 엄청, 머뭇거린다. 말로는 곧 할 것이라고, 하지만 여전히 제자리에서 맴돌며 움츠리고 있다. 이들 마음, 속에는 큰 성공을, 못하면 실패한 것이라는 심리가 있다. 그러기에 어떻게든 남들보다 뛰어난 사람이 되려 한다. 그러다 보니 작은 것들은 무시한다. 작은 것도, 소중한 게 있음을..

마음 사랑 2025.03.07

마음사랑/현실 회피하는 사람의 심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현실 회피하는 사람의 심리 현실에서 삶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자신의 진로를 찾는 걸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생의 과제나 일들을 감당하기 어려워한다. 그런 일들을 또 마주할까 봐 불안해하고 두려워하는 마음도 생긴다. 이런 마음 때문에 현실을 회피한다. 또 복잡한 걸 피하고 단순히 생각 없이 살려 한다. 특히 해결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무기력이 강한 경우, 생각 자체를 안 하려 하기도 한다. 현실을 감당하기보다, 피하여 받을 상처나 부정적 평가를 줄이려 한다. 그래서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현실에서 도피한다.  이들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걸 부담스러워한다. 책임지는 게 두렵다. 그래서 일부러 현실을 무시한다. 마음속에는 ‘어차피 나는 해도 안 된다는 심리’가 있다. 스스로 변화시킬 능력이 ..

마음 사랑 2025.02.21

마음사랑/우리의 복종심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우리의 복종심리 우리는 쉽게 굴복하지 않는 국민성과 그런 심리를 가진 민족이고 국민이다. 하지만 이런 심리 반대편에는 놀랍게도 복종심리가 깔려있다. 우리는 저항 심리도 있지만 다른 한편엔 권위에 대한 복종심리도 있는 것이다.  이런 우리의 심리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이렇다. 삼국 시대는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중앙 집권적 왕권 국가였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왕에 대한 절대적 복종이 필요했다. 특히 북방의 고구려는 유목 민족과 생존을 위한 끊임없는 전쟁을 하다 보니 강력한 군사적 질서가 강조되었다. 당연히 관리와 병사와 백성은 왕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해야 했다. 백제도 중앙 집권을 강화하면서 왕에 대한 절대적 순종이 필요했다. 신라의 골품제도는 강력한 신분제도로 위의 골품에 대한 무조건적 복종을 강..

마음 사랑 2025.02.14

마음사랑/우리의 튀지 말자는 심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우리의 튀지 말자는 심리 옷을 유행 따라 입는 사람들을 자주 접한다. 예를 들면 롱패딩이 유행이라면 여기저기서 롱패딩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이 있다. 또 가죽 짧은 치마가 유행하면 너도나도 그것을 입고 다닌다. 왜, 우리 국민은 유행에 민감할까? 유행이라는 건 사회의 많은 사람이 유사한 행동 양식과 문화 양식을 일정한 시간 동안 공유하는 걸 말한다.  그것은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우리 국민의 심리적인 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의 마음속에는 국가나 사회라는 집단에 동화되고 조화롭게 보이려는 욕구가 있다. 이것은 남의 이목에 두드러지게 보이거나 남의 주목을 받는 걸 피하려는 경향으로 나온다. 일명 ‘튀지 말자는 심리’다. 자신의 행동이 사회나 타인의 비난이나 거부를 받을까 두려워 행동을 조심하는 것..

마음 사랑 2025.02.05

마음사랑/우리의 저항 심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우리의 저항 심리 우리나라 환경에서 가장 많이 자라는 나무가 소나무일 것이다. 이 나무는 아무리 척박한 땅에서도 잘 산다. 마치 우리 민족, 우리 국민과 같다. 우리는 아주 오랫동안 안으로는 귀족 양반 등의 기득권 세력과 밖으로는 외세의 침략과 침입으로 압제를 받았으나 꿋꿋하게 버텨온 강인한 민족이다. 이런 우리 민족 국민의 심리를 역사적 과거아이 심리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는 삼국시대에 북서쪽의 수와 당 등의 중국세력, 남동쪽의 일본의 왜에서 온 해적 등에게 침략과 고통을 당했다. 고려 시대에는 강력하게 등장한 거란 요와 전쟁을 치러야 했고 또 몽골제국 원이라는 가장 강대한 힘에게 큰 압력을 받았다. 조선 시대에는 통일된 일본의 침략을 당했다.  대부분 이런 외부의 세력은 우리 민족과 국민이 ..

마음 사랑 2025.01.22

마음사랑/우리의 남을 위하는 심리...꿈과쉼우울증(과거아이)연구소/영등포심리상담

마음사랑우리의 남을 위하는 심리 유튜브를 보면 전 세계 국민의 도덕성을 시험하기 위해 몰래 카메라식으로 제작한 쇼츠영상이 많이 올라온다. 이때 대부분 나라 국민은 보는 이가 없는 것 같으면 누군가 떨어뜨린(?) 물건을 슬쩍 가져간다. 우리나라에서도 같은 시험을 했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다른 서구 선진국과 달리 우리 민족, 우리 국민은 사람이 없어도 남의 것을 쉽게 훔쳐 가지 않았다.  미국이나 브라질 등은 시위를 할 때 남의 것을 쉽게 탈취하고 불을 지른다. 우리 국민은 시위해도 남의 것을 탈취하지 않았다. 도리어 남의 것을 보호해주면서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다. 왜 우리 국민은 다른 선진국의 국민과 달리 남의 것을 잘 가져가지 않을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우리 국민의 심리를 과거아이식으..

마음 사랑 2025.01.10